서울시가 유료 인공지능(AI) 서비스를 활용한 직원 업무를 지원하고, AI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의견을 수렴하는 등 생성형 AI 기술을 행정에 접목하기 위한 행보에 나섰다.
서울시는 2월부터 챗GPT 플러스 등 부서별 직원들의 유료 AI 서비스 구독 비용을 지원하고, 국내외 다양한 AI 서비스의 업무 활용을 독려할 방침이다.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서울시 업무나 행정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는 국내의 여러 AI 신규 서비스를 지속 소개할 계획이다.
서울시 차원 AI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실국별 의견수렴도 진행한다. AI 종합계획은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AI 기술을 활용해 행정을 혁신하고 시민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게 목적이다.
박진영 서울시 디지털정책관(국장)은 지난 30일 서울시청 서소문청사에서 열린 제11회 정보통신 아카데미에서 이러한 내용의 서울시 AI 행정 혁신 추진 방안을 소개했다.
박 국장은 “서울시 직원들이 최소 부서 단위에서라도 AI 도구를 자유롭게 활용해볼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서울시 실국과 부서별로 내년도 사업계획을 수립할 때 AI를 활용하고 예산을 확보하는 방안을 함께 논의,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AI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가 업무 생산성은 물론 국가 AI 경쟁력과 직결된다는 게 이번 조치의 배경이다. 이를 이해서는 업무 곳곳에서 직원이 AI를 직접 활용하며 AI의 혜택을 체험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게 서울시 판단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올해 초 CES를 직접 방문하고, “올해가 서울시 AI 행정의 원년”이라고 발표했다.
오 시장은 “생성형 AI를 어떻게 행정에 접목시켜 일손을 좀 더 줄이고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창의적 영역에 투입하느냐가 올해 행정의 목표”라고 밝힌 바 있다.
서울시는 이미 챗봇을 비롯해 디지털 성범죄 AI 삭제 지원 프로그램, 120 다산콜센터, 지능형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등에 AI를 적용하고 있다. 지난해 지자체 최초로 '생성형 AI 윤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도 했다.
이날 정보통신아카데미는 '2024 CES로 본 기술 전망'을 주제로 이상용 서울시 디지털 수석, 변순정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보안산업진흥팀장이 강연했다. 100여명 이상 서울시, 산하 투자·출연 공공기관 직원들이 참석해 AI에 대해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출처 : https://www.etnews.com/20240131000197?mc=ev_003_00004/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a
마이크로소프트(MS)와 오픈AI가 휴머노이드 로봇 스타트업 '피규어 AI(Figure AI)'에 대한 투자를 논의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블룸버그 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피규어 AI가 최대 5억달러(약 6660억원)의 자금 조달을 진행 중인 가운데 MS가 9500만달러, 오픈AI가 500만달러를 각각 투자하는 방안이 시나리오 중 하나로 논의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양 사는 피규어 AI의 기업 가치를 19억달러로 평가해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 스타트업)이 탄생할 수 있으며, 투자 유치 금액에 따라선 가치가 더 높아질 수 있다고 소식통은 설명했다.
다만, 자금 조달 계획이 확정된 것은 아니며, 투자 금액이 변경되거나 혹은 거래 자체가 무산될 수도 있다고 관계자는 덧붙였다.
피규어 AI는 2022년 테슬라와 로봇개 스팟을 개발한 미국 로봇업체 '보스턴 다이내믹스' 출신 엔지니어들이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지난 5월 7000만달러의 자금을 유치했으며, AI 기반 로봇 개발을 통해 인간이 하지 못하는 위험한 일을 수행하고,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는 게 목표다.
앞서 오픈AI는 지난해 3월 노르웨이 로봇 스타트업 '1X 테크놀로지 AS'에 2350만달러(약 313억원)를 투자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있다. 오픈AI와 MS가 피규어 AI 투자를 확정하면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경쟁이 더 뜨거워질 전망이다. 짐 팬 엔비디아 수석 AI 연구원은 거대언어모델(LLM)을 제외하고 올해 가장 크게 성장할 분야로 로봇을 꼽았다. 특히 로봇 시장은 2050년까지 3조달러 규모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카카오헬스케어가 인공지능(AI) 기반 실시간 모바일 혈당 관리 서비스 ''(PASTA)를 출시했다.
황 대표는 “의사가 당뇨나 전당뇨 환자에게 주로 하는 말이 '이것 먹지 말고, 하지 마세요'가 많다”며 “밥·빵·국수를 안 먹고 살 수는 없기 때문에, 지속가능하고 건강하게 어떤 것을 먹어야 혈당 진폭이 줄거나 덜 올라갈지 코칭을 해주는게 바로 파스타”라고 설명했다.
황 대표는 “생활습관 개선이 곧 혈당 관리의 시작”이라며 “센서를 착용해도 본인이 주도적으로 혈당 관리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는데, 파스타는 센서·데이터 실시간 연동으로 예방-치료-치료 후까지 전체 사이클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라고 말했다.
카카오헬스케어는 파스타 앱에서 수집한 이용자 혈당 정보를 의사가 웹에서 확인하고 진료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문가용 대시보드 '파스타 커넥트 Pro'도 선보인다. 파스타 앱에서 입력한 식사 기록, 운동 정보 등 실시간 혈당 추이를 의사가 확인하고 교육이나 진료에 활용할 수 있다.
파스타 서비스는 글로벌 파트너들과 함께 올해 일본을 시작으로 해외 시장 개척에도 나설 방침이다.
출처 : https://www.etnews.com/20240201000230?mc=em_309_00001/ 송혜영 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