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싸도 너무 비싸"…오픈AI, 왜 반도체 직접 만들려 할까?
네이버, 국내 최초 생성형AI 광고 'CLOVA for AD' 테스트 시작
CLOVA for AD-Nike의 광고페이지. 자료=네이버 제공
네이버가 국내 최초로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 상품 'CLOVA for AD’의 테스트를 시작했다고 24일 밝혔다.
스포츠 브랜드 나이키와 함께 선보인 이번 광고는 브랜드가 원하는 경험을 사용자의 초개인화된 경험으로 연결하는 새로운 형태의 광고로, 네이버의 초대규모 AI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한다.
사용자가 네이버 검색창에 특정 브랜드를 검색하면 브랜드 검색이나 브랜딩DA(배너광고) 하단에 질문을 시작하기 위한 새로운 버튼(확장 버블)이 생긴다. 버튼을 클릭하면 챗봇 형태의 검색서비스인 '브랜드챗'에 들어갈 수 있다.
해당 페이지에서는 사용자의 질의에 대해 브랜드의 특화된 답변이 나타나고, 연쇄적인 질의를 통해 대화가 이어지면서 최종적으로 상품 추천에서 구매까지 이어지는 방식으로 광고가 이뤄진다.
예시로, 사용자가 특정 운동화 굽 높이에 대해 질의하면 제품 관련 정보를 답변으로 제공하고 구매링크도 함께 제공한다.
사업자 입장에서는 사용자와 인터랙티브한 대화를 통해 해당 브랜드가 원하는 답변을 제공하고, 브랜드가 보유하고 제안한 자체 콘텐츠를 중심으로 답변이 이뤄지기 때문에 신뢰성 및 안정성 있는 AI 추천 광고가 가능해진다.
CLOVA for AD는 발견·탐색·구매·재구매에 이르는 사용자의 정보소비의 흐름을 연결하는데 집중해 통합검색, 검색광고, 디스플레이광고, 독립 콘텐츠와도 연계될 전망이다. 브랜드챗에 진입할 수 있는 버튼이 검색광고가 나갈 때 함께 나가거나 스포츠 콘텐츠를 보다가 접하게 되는 디스플레이 광고에도 스포츠 브랜드의 광고가 함께 노출되는 식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사전 테스트 기간 동안 CLOVA for AD의 진입지점이 노출된 광고는 기존 대비 노출 대비 클릭률(CTR)이 약 20% 상승된 효과를 보였고, CLOVA for AD를 통해 제품 관련 대화를 나눈 후 광고주 사이트로 이동해 제품 탐색을 나누는 사용자도 약 3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원문:https://www.pressman.kr/news/articleView.html?idxno=77131
올트먼, AI 반도체 칩 생산 네트워크 추진
중동 투자자·대만·일본 기업들과
새 공급망 구축 자금 조달 논의중
G42·TSMC·소프트뱅크 등 거론
블룸버그 “삼성도 잠재적 파트너”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개발한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사진)가 자체 AI 칩 생산 기업 설립을 위해 투자자들과의 논의를 본격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트먼 CEO는 AI 칩 시장의 90%를 독점하는 엔비디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목표를 갖고 있다.
20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미국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올트먼 CEO는 최근 중동 투자자 및 대만·일본 기업들과 AI 칩 설계·제조를 아우르는 새 공급망 구축을 위한 자금 조달 논의를 진행 중이다.
잠재적 투자자로 거론된 기업은 아랍에미리트(UAE)의 AI 기업인 G42,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 일본 소프트뱅크 등이다.
블룸버그는 “한국의 삼성전자도 오픈AI의 잠재적 파트너”라고 언급했다.
‘오일머니’를 앞세운 G42와의 논의가 가장 진척된 상태인 것으로 보인다. 올트먼 CEO는 G42의 회장인 셰이크 타눈 빈 자이드 나하얀과 만나 논의를 이어 왔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타눈은 UAE 최고 권력자 중 한 명으로, 현 대통령의 동생이자 국가안보보좌관을 맡고 있다. G42는 이미 오픈AI와 파트너십 계약을 맺은 상태다.
올트먼 CEO의 구상대로 자체적인 칩 설계·제조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선 최소 수백억달러가 필요하다. 칩 제조공장(팹·Fab) 하나를 설립하는 데도 그만큼의 돈이 든다. 실제로 미국 애리조나에 2기의 팹을 건설 중인 TSMC는 총 400억달러(약 53조5000억원)를 투자했다.
그럼에도 올트먼은 충분한 칩 확보를 위해 지금 당장 신생 기업을 설립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챗GPT가 촉발한 ‘AI 혁명’으로 칩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면서 관련 업계가 심각한 공급 부족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챗GPT와 같은 초거대 AI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약 3만개의 칩이 필요하다. 오픈AI는 올해 GPT-4보다 높은 성능의 GPT-5를 출시할 계획도 갖고 있다. 갈수록 더 많은 칩이 필요해지는 상황이다.
G42와 오픈AI의 협력이 순탄히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미국 하원 중국특별위원회는 최근 상무부에 서한을 보내 G42에 대한 수출통제 검토를 주문한 바 있다. 중국특위는 G42의 CEO인 중국계 UAE 시민권자 샤오펑을 문제 삼으며 “G42는 중국 군부, 정보 당국, 국영 기업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주장했다.
원문: 세계일보 이지안 기자 easy@segye.co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