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바꿔줄 미래는…서울시, 콘퍼런스 'AI SEOUL' 개최
올트먼, AI 반도체 칩 생산 네트워크 추진
중동 투자자·대만·일본 기업들과
새 공급망 구축 자금 조달 논의중
G42·TSMC·소프트뱅크 등 거론
블룸버그 “삼성도 잠재적 파트너”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개발한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사진)가 자체 AI 칩 생산 기업 설립을 위해 투자자들과의 논의를 본격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트먼 CEO는 AI 칩 시장의 90%를 독점하는 엔비디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목표를 갖고 있다.
20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미국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올트먼 CEO는 최근 중동 투자자 및 대만·일본 기업들과 AI 칩 설계·제조를 아우르는 새 공급망 구축을 위한 자금 조달 논의를 진행 중이다.
잠재적 투자자로 거론된 기업은 아랍에미리트(UAE)의 AI 기업인 G42,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 일본 소프트뱅크 등이다.
블룸버그는 “한국의 삼성전자도 오픈AI의 잠재적 파트너”라고 언급했다.
‘오일머니’를 앞세운 G42와의 논의가 가장 진척된 상태인 것으로 보인다. 올트먼 CEO는 G42의 회장인 셰이크 타눈 빈 자이드 나하얀과 만나 논의를 이어 왔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타눈은 UAE 최고 권력자 중 한 명으로, 현 대통령의 동생이자 국가안보보좌관을 맡고 있다. G42는 이미 오픈AI와 파트너십 계약을 맺은 상태다.
올트먼 CEO의 구상대로 자체적인 칩 설계·제조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선 최소 수백억달러가 필요하다. 칩 제조공장(팹·Fab) 하나를 설립하는 데도 그만큼의 돈이 든다. 실제로 미국 애리조나에 2기의 팹을 건설 중인 TSMC는 총 400억달러(약 53조5000억원)를 투자했다.
그럼에도 올트먼은 충분한 칩 확보를 위해 지금 당장 신생 기업을 설립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챗GPT가 촉발한 ‘AI 혁명’으로 칩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면서 관련 업계가 심각한 공급 부족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챗GPT와 같은 초거대 AI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약 3만개의 칩이 필요하다. 오픈AI는 올해 GPT-4보다 높은 성능의 GPT-5를 출시할 계획도 갖고 있다. 갈수록 더 많은 칩이 필요해지는 상황이다.
G42와 오픈AI의 협력이 순탄히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미국 하원 중국특별위원회는 최근 상무부에 서한을 보내 G42에 대한 수출통제 검토를 주문한 바 있다. 중국특위는 G42의 CEO인 중국계 UAE 시민권자 샤오펑을 문제 삼으며 “G42는 중국 군부, 정보 당국, 국영 기업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주장했다.
원문: 세계일보 이지안 기자 easy@segye.coma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하나은행은 지난 23일 SK텔레콤과 인터콘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인공지능(AI) 유망 스타트업을 위한 ‘AI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1기’ 데모데이 행사를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데모데이는 지난해 7월 양사가 추진했던 ‘AI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1기’ 프로그램에 선발된 15개사들의 육성과정 종료를 기념하고 그간의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선발된 AI 스타트업 기업들에는 지난 6개월간 삼성동 스파크플러스 코엑스점 내 총 162석 규모의 사무공간 및 비즈니스 인프라가 무상으로 제공됐다. 아울러 ▷하나금융‧SK텔레콤 및 벤처캐피탈의 멘토링 및 투자 검토 ▷하나금융‧SK텔레콤과의 사업협력 기회 부여 ▷각종 세미나 및 서비스 OA, 앱 성능 검증 지원 ▷커뮤니티 활성화, C-Level 성장 등 지원이 이뤄졌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기업들은 행사장 내 개별 부스를 통해 유관기관 및 벤처캐피탈들과 네트워크를 진행했다. 또 릴레이 피칭을 통해 하나은행-SK텔레콤과 함께 진행했던 협업 성과를 공유하고 투자유치를 위한 발표를 실시했다.
정재욱 하나은행 디지털신사업본부 본부장은 “대한민국의 금융과 통신을 대표하는 양사는 AI 스타트업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실질적인 지원을 통해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창의적인 기술 및 아이디어를 가진 AI 스타트업과의 협력을 통해 금융사회 안전망 구축 등 사회적 가치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하나은행과 SK텔레콤은 이번 ‘AI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1기’를 시작으로 미래혁신 청년 창업기업 육성 및 상시 지원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원문: https://news.heraldcorp.com/view.php?ud=20240124000094
[하나은행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