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C&C(대표 윤풍영)는 싱가포르 협업 솔루션 기업 소프트파운드리와 ‘디지털 팩토리 플랫폼 아이팩츠 기반 원격 제조 영상 협업 서비스 개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날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소재 SK 타워에서 진행된 체결식에는 SK㈜ C&C 조재관 제조디지털부문장, 소프트파운드리 조니 쿠오 소프트파운드리 대표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글로벌 공급망 확보를 위해 전 세계 각국에 세워지고 있는 제조∙생산 시설 관리에 대한 기술∙운영∙비용적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한다. 보통 해외 공장에서 공정 과정의 오류나 문제가 발생하면 본사 엔지니어링 전문가가 파견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 소모, 피해 누적, 비용 증가와 같은 문제들을 한번에 해결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두 기업은 SK㈜ C&C의 디지털 팩토리 플랫폼 아이팩츠에 공동 개발한 원격 제조 영상 협업 솔루션을 탑재해 관련 사업화 및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한다.
아이팩츠는 생산 및 설비제어부터 품질∙생산성 분석, 공정∙설비 모니터링, 제품 출하를 비롯한 운영관리 자동화 서비스를 갖췄다. 여기에 원격 제조 영상 협업 솔루션을 적용함으로써 제조 공정 라이프 사이클 전반에 대한 자동화 서비스 수준을 고도화한다. 고객 IT환경에 맞춰 소프트웨어형 서비스(SaaS)나 고객 IT시스템 내부의 자체 구축형 서비스까지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원격 제조 영상 협업 서비스는 아이팩츠에 접속만 하면 본사 및 현장 관리자, 엔지니어링 전문가 모두 쉽고 간편하게 사용 가능하다. 원격지 현장 관리자는 설비 점검이나 유지보수 과정을 생생한 영상으로 전파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증강현실(AR) 글래스 등 다양한 모바일 기기를 통해 공유할 수 있다.
현장 작업업무 프로세스를 디지털화시켜 손쉽게 관리하고, 작업 결과를 공유∙보고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전용 워크플레이스 웹을 통해 기업 내부 시스템과 연동 및 데이터 보안도 지원한다.
현장 기술 교육이 필요하거나, 장비∙설비에 문제가 생긴 경우에도 최대 300명이 다자 간 영상 회의에 참여해 실제 현장을 보며 문제 해결에 나설 수 있다. 인공지능(AI) 기반의 실시간 자동 번역을 지원하는 다국어 메신저 기능도 갖췄다.
두 기업은 이번 파트너십을 계기로 국내 자동차, 에너지, 건설, 통신 등 여러 제조 분야로 서비스 확산을 추진함과 동시에 소프트파운드리의 글로벌 고객사를 비롯한 해외 신규 사업 발굴에도 적극 공조할 계획이다.
원문 : SK㈜ C&C-소프트파운드리, 원격 제조 영상 서비스 개발 협력 - ZDNet korea
인류를 뛰어넘는 능력을 갖춘 초지능 인공지능(AI)의 출현은 아직 멀었다고 브래드 스미스 마이크로소프트 사장 겸 최고법무책임자가 30일(현지시간) 견해를 밝혔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그는 향후 1년 안에 인간보다 더 뛰어난 초지능 인공지능(AI)이 만들어질 가능성은 없을 것이라며 이 기술은 최소 수 년이 걸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인류를 뛰어넘는 능력을 갖춘 초지능 인공지능(AI)의 출현은 아직 멀었다고 브래드 스미스 마이크로소프트 사장 겸 최고법무책임자가 30일(현지시간) 견해를 밝혔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그는 향후 1년 안에 인간보다 더 뛰어난 초지능 인공지능(AI)이 만들어질 가능성은 없을 것이라며 이 기술은 최소 수 년이 걸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지난주 인류를 뛰어넘을 수 있는 인공일반지능(AGI)의 발견이 샘 올트먼 CEO의 오픈AI 해임 촉매제 역할을 했다는 배경이 로이터를 통해 전해지면서 논란이 됐다.
샘 올트먼 CEO 해임 사태가 관련 기술과 관계가 있냐는 질문에 스미스 사장은 "전혀 그렇지 않다고 본다"고 반박했다.
이어 "오픈AI 이사회와 다른 사람들 사이에 분명 의견 차이가 있었다고 생각하지만, 근본적으로 그런 우려 때문은 아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에게 정말 필요한 것은 안전 브레이크"라며 "AI 시스템에도 안전 브레이크가 있어 항상 사람이 통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원문 : 마이크로소프트 사장 "인간 뛰어넘는 AI 출현 아직 멀었다" - 뉴스1 (news1.kr)
옷핀처럼 옷깃에 붙여 사용하고 레이저 프로젝터가 디스플레이를 대체하는 초소형 스마트폰이 등장했다. 낮은 기기 처리 성능을 인공지능(AI)으로 보완해 현재의 스마트폰을 대체하겠다는 목표다. 애플 아이폰 개발자 출신 인물들이 주도하는 이 프로젝트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 오픈AI의 샘 올트먼, LG그룹 등이 투자에 나서며 IT업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9일(현지 시간) 스타트업 ‘휴메인(Humane)’은 초소형 기기 ‘AI핀’을 공개했다. 휴메인은 애플 디자이너 출신인 임란 초드리와 베사니 본조르노 부부가 2018년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회사에는 90명에 달하는 애플 출신 인물들이 합류했다고 한다.
AI핀은 갤럭시버즈나 에어팟 같은 무선이어폰 케이스 정도 크기에 두께는 더욱 얇다. 기기에는 화면이 없고 1200만 화소 카메라와 레이저 프로젝터만 달려 있다. 프로젝터가 손바닥에 레이저를 쏘고, 손바닥에 구현된 화면을 터치스크린처럼 사용하는 방식이다.
기본적인 기능은 스마트폰과 같다. 전화와 음성 인식, 제스처 인식 등이 가능하고 스냅드래곤 프로세서와 32GB(기가바이트) 저장공간을 갖췄다. 배터리는 최대 9시간까지 작동 가능하다. 부족한 기기 성능은 생성형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충한다는 계획이다. 가격은 699달러(약 90만 원)다. 미국 이동통신사 T모바일과 협력해 함께 판매한다. 회사측은 초기 10만대의 물량을 준비했고, 제품 공개 이후 11만명을 넘어서는 예약을 받았다고 밝혔다.
IT 업계는 AI핀이 포화 상태인 스마트폰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에 주목하고 있다. 실제 휴메인은 지난 3월 MS와 LG, SK네트웍스 등으로부터 1억 달러(약 1300억 원)를 투자 받았다. 이 투자에는 샘 올트먼과 마크 베니오프 세일즈포스 최고경영자(CEO) 등도 참여했다. 임란 초드리 휴메인 공동 설립자 겸 CEO는 테크크런치와 인터뷰에서 "스마트폰은 16년이 된 기술로 마지막 시대가 도래했다"며 AI핀이 미래 모바일 시장을 주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9X6J2ZH1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