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신성장동력 확보의 일환으로 '가전 생태계' 조성에 힘을 쏟고 있다. 지난 1~2년간 코로나19 보복소비로 가전제품 교체 수요가 높았던만큼 상대적으로 올해 가전 시장의 부진이 심화하자 소프트웨어와 플랫폼 사업으로 극복하려는 모습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삼성푸드' 등 다양한 플랫폼 사업 론칭·확대를 통해 가전 불황 극복에 나섰다. 제품 자체의 '하드웨어' 변화보다 리스크가 적은 '소프트웨어' 개발에 집중해 제품의 연결성을 강조하고 소비자를 생태계 안으로 끌어들여 편의성을 높이는 전략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 해도 통합세트(DX)부문 내 VD·가전사업부가 600억원의 영업손실을 봤다. 7년 만의 분기 적자다.
이후 삼성전자는 사내 인력 확보, 개발팀 확대 등을 통한 조직 재정비에 나섰고 법인별 사업 점검도 실시했다. 특별 인센티브 2000만원의 '파격 조건'을 내걸고 사내 인력 충원에 나서고 '차세대 가전연구팀'을 신설하는 등 혁신 제품·서비스 개발에 총력을 다했다.
또 삼성전자는 북미, 유럽 등 7개 해외 생산·판매법인마다 전담 지원팀을 파견해 지난 6월부터 운영 개선 방안을 찾았다. 제품, 유통, 프로모션 전략 등 법인별 현안과 개선 방안을 실행 중이다.
이에 삼성전자의 가전사업부문은 올해 1분기까지 부진하다가 2분기부터 다시 회복하는 추세다.
1분기 VD(영상디스플레이)·생활가전사업부 영업이익은 19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영업이익인 8000억원과 비교해 76.2% 하락한 수치를 기록했다. 올해 2분기에는 매출 14조3900억원, 영업이익 7400억원 달성. 매출은 전년 같은 분기보다 3%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이 105.6%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삼성 TV 플러스' 등 플랫폼 사업 다각화 결과라고 판단해 다른 가전에서도 플랫폼 사업을 확대할 전망이다.
스마트 TV가 시장의 주류로 자리매김하자 삼성은 '삼성 TV 플러스' 기반의 패스트(FAST·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TV) 서비스를 활용해 콘텐츠 경쟁력에 집중하고 있다.
TV에서 플랫폼 사업을 시작해 효과를 본만큼 '삼성푸드'를 통한 주방가전으로 플랫폼 연결성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삼성전자는 삼성푸드와 헬스케어 플랫폼인 '삼성 헬스'를 올해 안에 연동할 계획이다. 두 서비스가 연동되면 사용자의 몸 상태와 활동량 등을 고려한 조리법과 식단을 제공하는 등 소비자 맞춤형의 새로운 생태계를 창출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다양한 제품 개발과 플랫폼 서비스 등을 확대하기 위해 이달 초 조직개편에서 '미래기술사무국'을 신설했다. 세상에 없는 기술과 제품 확보를 위한 것으로 미래 신기술을 발굴하는 한편, 제품별 신규 폼팩터 개발 등을 진행한다.
특히 생활가전사업부는 가전제품 인공지능(AI)화에 초점을 맞춰 AI 전략·로드맵을 제시하는 'AI전략P'를 신설했다. 차세대가전연구팀 산하에는 '스마트홈AI 랩' 조직을 만들어 AI를 기반으로 하는 차별화된 서비스 관련 선행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원문 : '가전 불황'에 삼성전자, '소프트웨어·플랫폼' 집중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newsis.com)
한국기업평판연구소가 소프트웨어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8월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위 한글과컴퓨터 2위 엠로 3위 더존비즈온 순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소프트웨어 상장기업 브랜드에 대해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브랜드 평판조사를 실시했다. 2023년 7월 30일부터 2023년 8월 30일까지의 소프트웨어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40,345,216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평판을 분석했다. 지난 7월 소프트웨어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44,114,495개와 비교하면 8.54% 줄어들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이다.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끼리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커뮤니티 점유율을 측정하여 분석했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ESG 관련지표와 오너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소프트웨어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분석은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 사회공헌지수로 구분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산출했다.
2023년 8월 소프트웨어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 30위 순위는 한글과컴퓨터, 엠로, 더존비즈온, 안랩, 폴라리스오피스, 코난테크놀로지, 알체라, 이스트소프트, 엑셈, 비즈니스온, 라온피플, 윈스, 맥스트, 알서포트, 파수, 라온시큐어, 바이브컴퍼니, 케이사인, 웹케시, 투비소프트, 모아데이타, 인지소프트, 오상자이엘, 키네마스터, 스코넥, 지니언스, 오비고, SGA, 한컴위드, 핸디소프트 순이었다.
소프트웨어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한글과컴퓨터 브랜드는 참여지수 430,465 미디어지수 273,193 소통지수 258,937 커뮤니티지수 1,425,724 시장지수 789,529 사회공헌지수 122,716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300,564로 분석됐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 3,541,397과 비교해보면 6.80% 하락했다.
2위, 엠로 브랜드는 참여지수 441,735 미디어지수 329,330 소통지수 254,822 커뮤니티지수 233,382 시장지수 1,843,642 사회공헌지수 54,560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157,471로 분석됐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 3,252,432와 비교해보면 2.92% 하락했다.
3위, 더존비즈온 브랜드는 참여지수 196,490 미디어지수 161,801 소통지수 167,969 커뮤니티지수 174,922 시장지수 2,216,357 사회공헌지수 176,780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094,320으로 분석됐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 2,757,864와 비교해보면 12.20% 상승했다.
4위, 안랩 브랜드는 참여지수 263,620 미디어지수 260,906 소통지수 274,959 커뮤니티지수 210,685 시장지수 1,486,876 사회공헌지수 193,33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690,379로 분석됐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 2,848,358과 비교해보면 5.55% 하락했다.
5위, 폴라리스오피스 브랜드는 참여지수 716,380 미디어지수 483,155 소통지수 369,872 커뮤니티지수 367,943 시장지수 593,671 사회공헌지수 115,98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647,007로 분석됐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 2,293,388과 비교해보면 15.42% 상승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소프트웨어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8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한글과컴퓨터 ( 대표 변성준, 김연수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소프트웨어 상장기업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7월 소프트웨어 브랜드 빅데이터 44,114,495개와 비교하면 8.54% 줄어들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17.23% 상승, 브랜드이슈 18.77% 상승, 브랜드소통 4.32% 하락, 브랜드확산 43.17% 하락, 브랜드시장 4.69% 하락, 브랜드공헌 4.53% 하락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편 2023년 8월 소프트웨어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분석한 브랜드는 한글과컴퓨터, 엠로, 더존비즈온, 안랩, 폴라리스오피스, 코난테크놀로지, 알체라, 이스트소프트, 엑셈, 비즈니스온, 라온피플, 윈스, 맥스트, 알서포트, 파수, 라온시큐어, 바이브컴퍼니, 케이사인, 웹케시, 투비소프트, 모아데이타, 인지소프트, 오상자이엘, 키네마스터, 스코넥, 지니언스, 오비고, SGA, 한컴위드, 핸디소프트, 아톤, 비트나인, 소프트캠프, 위세아이텍, 세중, 포시에스, 텔코웨어, 이니텍, 누리플렉스, 디지캡, 이글루시큐리티, 네이블, 링크제니시스, 아이퀘스트, 영림원소프트랩, 시큐브, 알티캐스트, 브레인즈컴퍼니, 지란지교시큐리티, SGA솔루션즈, 플랜티넷, 디모아, 미디어젠, 네오리진, 휴네시온, 에스에스알 이다.
출처 : CBC뉴스 | CBCNEWS(https://www.cbci.co.kr)
소프트웨어 업계가 공공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이 달라져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또한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에서 자주 발생했던 발주자측의 관행을 해결하고, 문제가 발생할 경우 대응할 수 있는 리스크 관리 방안이 필요하고 주장했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디플정위원회)는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정보화사업구조 혁신방안 마련을 위한 심층토론회'를 열고 업계의 의견을 들었다. 이날 토론회에는 IT 서비스 업계와 CSP·MSP, 패키지 소프트웨어 기업,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업, 공공 발주자 등 60여명이 참석했다.
많은 내용이 다뤄진 만큼 소프트웨어 업계 주요 기업은 토론회에 모두 참석했다. IT 서비스 업계에서는 삼성SDS, LG CNS, SK C&C 등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이 고루 참여했다. 공공 발주자 측에서는 보건복지부와 교육부, 국토교통부 등이 참여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디플정위원회와 업계는 각자의 의견을 정리하고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에 대한 합의점을 어느정도 도출해냈다. 다만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 대기업 참여제한 완화와 관련해서는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전날 토론회 참석자들은 약 8시간 정도 그룹 토론을 진행하며 각자의 의견을 전달한 바 있다.
◆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 불합리한 관행, 바뀌어야 한다"
이날 소프트웨어 업계는 그동안 공공 소프트웨어 업계에서 자행됐던 불합리한 관행을 개선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그동안 업계는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에서 계속 문제가 발생하는 게 잦은 과업 변경 때문이라고 주장해왔다.
공공기관이 사업을 시작할 때 확정한 기능점수(FP)가 실제 개발 과정에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는 지적이다. 특히 법적으로는 과업이 증가하면 상응한 대가가 지급돼야 하는데, 실제론 이뤄지지 않아 시스템이 불완전한 상태로 개통할 수밖에 없다는 의견도 있었다.
원가 항목을 세분화하고 FP 단가를 인상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토론회에 참석한 IT 서비스 업계 한 관계자는 "코로나19를 겪으며 물가가 큰 폭으로 올랐는데 아직도 FP 단가는 그대로"라며 "기관들이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을 진행할 때 지급하는 시스템 유지보수비용이 10년 전에 비해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소프트웨어 업계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에 SaaS 도입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애자일한 방법론을 단계적·시범적으로 확산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만약 문제가 발생할 경우 대응할 수 있는 리스크 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은 발주자들의 요구사항에 맞게 주문형으로 제작되는 방식이다 보니 요구사항이 불분명할 수밖에 없고, 요구사항이 명확하게 나오는 데 한계가 있었다"며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에 SaaS가 도입되면 과업 변경이 잦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합의 실패한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 대기업 참여제한 완화
다만 소프트웨어 업계는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 대기업 참여제한 완화에 대해서는 의견을 모으는 데 실패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000억원 이상의 대형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의 경우 예외심의 없이도 대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있다.
토론회에서는 공공 소프트웨어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대기업이 더 쉽게 진입 가능하도록 1000억원의 기준선을 낮춰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반면 소프트웨어진흥법의 취지를 고려해 중소·중견기업이 상생할 수 있도록 현 제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IT 서비스 대기업들은 대기업들은 참여제한 제도가 시행된 이후 공공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줄인 만큼, 사업에 다시 뛰어들기 위해서는 기준선이 더 낮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IT 서비스 업계 한 관계자는 "예전에는 각 회사별로 공공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이 있었다면 지금은 공공을 이해하는 인력도 많지 않은 상황"이라며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사업 불확실성이 해소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만 중소·중견기업을 중심으로는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 대기업 참여제한 자체를 반대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그동안 중소·중견 IT 서비스 기업들은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을 통해 레퍼런스를 쌓고 해외 진출을 하는 등 사업 확장을 이어왔다. 이들은 대기업 참여제한이 현실화될 경우 다시 대기업 위주로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 시장이 재편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IT 서비스 업계 다른 관계자는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을 토대로 포트폴리오를 꾸려 해외에 진출하는 기업들이 적지 않았다"며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에서 대기업 참여제한을 완화하는 것은 중소·중견기업과 대기업의 상생을 바라는 소프트웨어진흥법의 취지에 반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디플정위원회는 이번 토론회에서 나온 내용들을 토대로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의 발전방향을 정리할 계획이다. 이후 업계 의견을 듣는 자리를 추가로 만들 예정이다.
원문 : "공공 SW 사업 불합리한 관행, 바뀌어야 한다"…소프트웨어 업계 한 목소리 - 디지털데일리 (d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