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가 인공지능 챗봇을 장착해 새롭게 업그레이드한 검색 엔진 '빙'(Bing) 이용자가 급속히 늘고 있습니다.
MS는 현지시간으로 10일 블로그를 통해 빙을 이용하는 일일 활성 사용자 수가 1억 명을 돌파했다고 밝혔습니다.
일일 활성 사용자는 하루에 한 번이라도 접속한 이용자 수를 뜻합니다.
MS는 "매우 주목할 만한 수치"라며 "검색 엔진 참여도도 향상돼 더 많은 사람이 매일 검색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MS의 빙 이용자가 1억 명을 넘어선 것은 지난달 7일 미 워싱턴주 본사에서 출시를 발표한 지 한 달여 만이입니다.
MS는 "이용자의 3분의 1이 빙을 처음 사용하는 사람"이라며 "여전히 빙 검색엔진 점유율이 낮지만, 그동안 빙을 사용해본 적 없는 이용자를 끌어들인 것에 의미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MS는 검색 엔진 시장의 80%를 차지하는 구글과 달리 빙 챗봇을 공격적으로 확산시키고 있다. 빙 챗봇의 답변 논란에도 질문 수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이용을 제한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반해 구글은 지난달 8일 AI 챗봇을 장착한 새 검색 엔진 '바드'를 선보인 이후 아직 공식적으로 이용자 관련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MS는 구글에서 빼앗아 오는 시장 점유율 1%당 20억 달러(2조4천억원)의 추가 광고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원문 : 마이크로소프트 “인공지능 챗봇 장착 ‘빙’ 이용자 1억명 돌파” (kbs.co.kr)
마이크로소프트(MS)가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강력한 플랫폼인 ‘윈도우’와, 새로운 인공지능(AI) 챗봇 ‘챗GPT’를 이용해 검색엔진·웹브라우저·광고시장 등에서 공격적 행보를 보이는 모습이다.
8일(현지시간) MS는 자사 블로그에 글을 올려 검색엔진 ‘빙(Bing)’의 일간 활성 이용자(DAU)가 1억 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2009년 빙이 출시한 이래로 처음 있는 일이다.
이는 최근 출시한 챗GPT 기반 검색엔진 ‘빙 챗’ 덕분이라는 분석이다. MS는 “빙 챗 이용자의 3분의 1가량이 빙을 처음 사용하는 사람”이라고 밝혔다.
MS는 빙을 기반으로 웹브라우저 시장에서도 저변을 넓혀 나가고 있다. 자사의 운영체제인 윈도우를 업데이트해 검색 엔진 기본값을 빙으로 바꾸라고 종용하고, “구글 크롬 다운로드를 중단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하면서 자사 웹브라우저인 에지(Edge)의 사용을 독려하는 모습이다. 빙 챗을 에지에서만 돌아가게 하는 것도 이러한 전략의 일환이다.
웹브라우저 시장을 차지하면 이용자의 인터넷 이용 데이터를 손쉽게 얻을 수 있어 많은 정보기술(IT) 업계가 이에 도전하고 있다. 한때 이 시장은 MS의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구글 크롬이 60% 정도로 시장 지배자의 위치를 공고히 하고 있다. 현재 에지의 점유율은 10% 정도에 머무른다.
MS는 이를 통해 광고시장에서의 영향력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MS의 광고사업 매출은 180억 달러(약 24조 원)로, 전년의 100억 달러(약 13조 원)에 비해 크게 올랐다. MS는 과거 “검색 광고 시장에서 점유율이 1%포인트 상승할 때마다 광고 비즈니스에 20억 달러(약 2조 6000억 원)의 수익 기회가 생긴다”고 밝힌 바 있다.
사티아 나델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인터뷰에서 검색엔진의 절대강자인 구글을 겨냥한 발언을 내놓기도 했다. 그는 미국 IT매체 더 버지에 “구글은 검색시장을 상당한 차이로 지배해 왔다”며 “이제는 여러 개의 검색엔진이 생겨나 광고주는 더 많은 수익을, 사용자는 더 큰 혁신을 누릴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원문 : 마이크로소프트 검색엔진, 일간 사용자 1억 명 돌파 - 매일경제 (m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