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지난 3일 대성엘텍과 인공지능(AI)·디지털 전환(DX) 분야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KT는 AI 서비스로봇을 제조업에도 공급하게 됐다.
대성엘텍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와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기술이 융합된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AVN) 제품을 주력 생산해 글로벌 자동차기업에 공급하는 자동차부품 전문 기업이다.
평택시 대성엘텍 사옥에서 열린 업무협약식에는 KT 강남법인고객본부장 성원제 상무와 대성엘텍 양원기 대표가 참석했다.
업무협약에 따라 KT는 대성엘텍 생산공장에 KT AI 서비스로봇을 공급한다. 1차 공급하는 로봇은 6대이며, 앞으로 10대를 추가 공급할 예정이다.
양사는 AI 서비스로봇 도입 말고도 ▶생산공장 디지털 혁신과 스마트 자동화 ▶ICT, AI·DX 기반 솔루션 도입 ▶기업가치 증대를 위한 미래지향적 관계 구축을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양원기 대표는 "KT와의 협력으로 생산공정을 디지털화하겠다"며 "이를 통해 생산성이 증대되고 산업현장 안전지수가 향상되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성원제 상무는 "이번이 AI 서비스로봇이 생산공장에 도입되는 첫 사례"라며 "AI 서비스로봇이 공장 내 물류를 도맡으리라 본다"고 전했다.
원문 : 제조업 생산공정도 AI 서비스로봇 도입 < 경기 < 경제 < 기사본문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co.kr)
수원특례시는 소프트웨어 로봇인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를 시범 도입해 ‘디지털 행정혁신’에 박차를 가한다고 4일 밝혔다.
단순·반복 업무를 자동화하는 RPA는 최근 금융권 등 민간기업뿐 아니라 공공기관에서도 속속 도입하고 있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주목받는 기술이다.
RPA 로봇은 대량의 데이터 작업, 접수 현황 모니터링 등 그동안 수작업으로 이뤄졌던 반복·정형적인 업무를 자동 처리한다.
시는 4일부터 호봉 정기승급 대상자 선정, 각종 증명서 발급신청 승인 처리 등 2개 업무를 RPA 로봇에게 맡긴다.
RPA 도입으로 업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호봉 정기승급 대상자 선정’은 연간 업무 처리시간이 75% 단축되고, ‘제증명 발급 신청 승인 처리’는 83%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알고리즘에 따라 업무를 처리해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시는 모든 부서를 대상으로 RPA 수요조사를 했고, 발굴한 과제(42개)를 대상으로 RPA 구현 적합성·업무량 등을 상세하게 분석한 후 부서 의견을 수렴해 RPA 시범 도입 과제를 선정했다.
시 관계자는 “RPA 시범 도입으로 사람과 로봇의 협업 체계 기반을 마련했다”며 “단순 업무 처리 시간이 줄어든 만큼, 담당 직원은 정책연구 등 가치 판단 업무에 역량을 더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원문 :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104_0002073424&cID=14001&pID=14000
메타버스 측량과 인공지능(AI) 성과결정 시스템 등 지적 서비스 혁신을 위한 다양한 신기술이 논의됐다.
LX한국국토정보공사가 ‘2022 스마트국토엑스포’와 연계해‘2022년 지적측량 혁신 컨퍼런스’(11월4일 킨텍스 209호 B)를 개최하고 첨단기술을 활용해 지적측량 혁신방안을 강구했다.
뜨거운 관심을 모은‘메타버스(AR) 측량’은 드론 영상·MMS를 활용해 3D 모델로 구축하고 측량 알고리즘을 설계·적용하는 스마트 국토정보 서비스다.
LX공사는 측량 서비스 시스템‘모바일 랜디고’와 오픈소스를 활용하여 시간·비용 절감은 물론 시·공간의 제약 없는 근무환경과 안전성 확보까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공지능(AI) 성과결정 지원 시스템’은 과거 측량결과 등을 토대로 머신러닝을 활용해 최적의 성과 결정안을 제시하는 서비스도 관심을 모았다.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웨어러블 슈트를 활용한 안전한 현장 지원, 최신 GNSS 측량 도입 등도 검토됐다.
LX공사는 지난 8월부터 지적측량 혁신 TF를 운영해 현장 업무 효율화·자동화, 업무 환경 개선, 측량 서비스 개선을 주제로 10개 혁신과제를 발굴해왔다.
LX공사 김용하 지적사업본부장은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선도하는 측량 서비스 혁신, 데이터·플랫폼 기반 업무 자동화를 통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서비스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원문 : 새전북신문 (sjb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