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웨어가 오는 12월 6일부터 8일(미국 현지시간)까지 샌프란시스코 모스코니 센터에서 글로벌 개발자 콘퍼런스 '스프링원 2022(SpringOne 2022)'를 개최한다고 3일 발표했다.
스프링원은 컨테이너 환경에서 쿠버네티스를 기반으로 한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VM웨어 탄주(VMware Tanzu) 팀이 이끄는 연례 행사다.
올해 20주년을 맞이한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자바(Java) 프레임워크인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부터 쿠버네티스(Kubernetes), 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s)에 이르기까지 최신 툴을 사용한 혁신적인 앱 구축, 새로운 툴 탐색 및 적용, 고객에게 필수적인 소프트웨어 제공 방법 등 여러 주제를 다룬다.
오는 12월 6일부터 8일까지 총 3일간 개최되는 이번 행사는 '세상을 움직이는 앱 구축'을 주제로 초급부터 고급까지 다양한 개발자, 클라우드 엔지니어, 비즈니스 리더 등이 모여 노하우를 공유하고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채로운 세션, 워크샵과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한다.
첫째날인 6일에는 강사와 1대 1로 소통하며 스킬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워크샵 프로그램과 여성 참가자를 위한 네트워킹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7일과 8일에는 초급 스프링 ▲중·고급 스프링 ▲플랫폼 및 스택 ▲사람, 프로세스, 문화 ▲프로그래밍 툴 ▲고객 사례 등 6개의 트랙으로 나뉘어 다양한 세션이 제공된다.
김영태 VM웨어 코리아 탄주 총괄 전무는 "3년만에 대면 개최되는 '스프링원 2022'에서 전세계 동료들과 함께 애자일 방법론을 확장하고, 비즈니스를 혁신하는 기술을 도입하고, 디지털 전환 노력을 앞당기는 방법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어 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원문 : https://www.inews24.com/view/1535259
인공지능(AI)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을 것이라는 우려는 꾸준히 나왔다. 하지만, 창작 활동만큼은 인간의 고유한 영역으로 인식돼, AI가 침범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런 창작 영역에도 AI가 손을 뻗기 시작했다. 특히 그림 그리는 AI는 장면 구성이나 광원 효과 등 이미 현업 작가 수준의 작품을 만든다고 평가받는다.
최근 관련 업계에서 주목받는 AI 서비스는 지난 10월 등장한 '노벨 AI(Novel AI)' 이미지 제너레이터다. 노벨 AI는 스토리텔링에 특화한 AI다. 사용자가 특정 문장을 입력하면 이를 배경으로 다음 이야기를 만들어 보여준다. 대화를 통해 게임 스토리를 풀어나가는 TRPG(테이블톱 RPG)의 진행자처럼 사용자가 제시한 세계관과 소재로 흥미로운 이야기를 만든다.
지난달에는 키워드 기반 이미지 생성 기능도 도입했다. 독일 뮌헨 대학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와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 솔루션 기업 런웨이(Runway)가 함께 개발한 기술이다.
사용자가 직접 그린 간단한 스케치와 함께 미소, 갈색머리, 인물 등 키워드를 넣으면 만화풍의 이미지를 자동으로 만든다. 사용자가 직접 사진이나 그림 파일을 올리고, 이와 유사한 형태로 일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현재 노벨 AI는 클라우드 기반 구독 서비스로 제공 중이며, 이미지를 생성할 때는 구독 시 매월 받을 수 있는 유료 재화가 소모된다. 사용자 마음에 드는 이미지를 만들기까지 반복 생성해야 하고, 이때마다 재화(약 14원)가 든다. 하지만 사용자 만족도는 높다.
이미 국내외에서는 노벨 AI 가입 방법은 물론, 원하는 형태의 이미지를 정확하게 생성하는 방법이나 명령어 사용법 등이 공유되고 있다. 인간이 3시간 걸려 작업해야 할 그림을 몇 초 이내에 만들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을 즉시 그려주는 높은 자유도 덕분에 활용 방법도 다양하다.
기사 원문 : https://www.ajunews.com/view/20221106094557346
“우주기술의 발달로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은 우주가 당신의 삶에 있습니다.”
허희영 한국항공대학교 총장은 17일 인하사대부고 학생들에게 “과거는 우주개발을 위한 인공위성 투자가 주류를 이뤘다면 2000년 들어서 우주의 상업화, 데이터 활용, 자원개발 등 실질적인 경제적 가치를 실현하는 시대가 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허 총장은 이날 특강에서 '넓어지는 하늘과 항공우주의 진화'라는 주제로 뉴스페이스시대의 우주산업과 우주관광, 우주기업 등을 소개했다.
특히, 메모리폼, 무선청소기, 냉동건조기술, 가스탐지기술, 네비게이션 등의 예로 들면서 학생들에게 미래직업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허희영 총장은 “미래에는 '하늘을 나는 차' 등 4차산업의 핵심이 우주산업에 있는 만큼 향후 진로를 선택할 때 잘 활용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출처 : 인천일보(http://www.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