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기업, 전문가와 함께 국내 소프트웨어(SW) 산업 혁신 성장을 위해 동향과 전망을 논의하고 대한민국 대도약을 실현하는 'SW 주간' 막을 올린다.
SW 주간은 27일부터 내달 1일까지 5일간 총 10여개 행사로 진행된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전체 총괄한다.
첫날에는 '2024 SW 산업 전망 컨퍼런스'가 서울 엘타워 '그레이스홀'에서 열린다. 첨단산업 중심 SW 융합 동향과 전망, 트렌드 등을 논의한다. 분야별 전문가가 SW 산업 현황과 내년도 대응 방향을 토론한다.
오후에는 서울 엘타워 '그랜드홀'에서 '제24회 소프트웨어 산업인의 날 기념식'이 개최된다. SW 산업 발전 유공자를 시상한다. 대한민국SW·SW기술 대상도 시상한다. 각각 행사에는 SW 산·학·연 관계자 450여명, 3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튿날에는 'SW 기술 투자유치 설명회'가 한화 드림플러스 강남점에서 개최된다. 올해 SW 기술 투자유치 컨설팅 사업 선정 기업 가운데 참가 희망기업·전문 투자사 등 20명이 참석한다.
사흘째에는 '2023 SW 품질 인사이트 콘퍼런스'가 코엑스에서 열린다. SW 산업 사업과 트렌드를 공유한다. SW 품질혁신 유공 포상을 실시한다.
같은 날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는 '제2회 IT여성기업인의 날'이 개최된다. 우수 여성기업인과 기관 유공자, 창업 공모전 수상팀을 시상한다. 산·학·연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오는 29일부터 12월 1일까지는 국내 최대 정보통신기술(ICT) 박람회 '대한민국 소프트웨어 대전, 소프트웨이브 2023'이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국내 대표 SW 320개사가 참여해 산업 핵심 트렌드와 미래 기술을 공개한다. SW 산업 관계자와 일반 참관객 등 2만5000여명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흘째 코엑스에서 '2023년 소프트웨어 발주 역량강화 콘퍼런스'가 열린다. SW 사업 우수 공공발주자 장관상과 원장상을 수여한다. SW 사업 발주 역량 강화를 위한 주제 발표와 전문가 토론회가 진행된다.
마지막 날에는 'SW 연구개발(R&D) 우수성과 및 유공자 시상식'을 서울 엘타워에서 연다. SW 연구개발(R&D) 우수 성과 도출에 이바지한 공적자에게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원장상 등을 시상한다.
이날 서울 코엑스에서는 '2023년 공개 SW 페스티벌'이 개최되고 SW 주간을 마무리한다. 공개 SW 산업발전 유공자를 포상한다. 이도규 과기정통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이 축사와 시상할 예정이다.
NIPA 관계자는 “'미래와 기회, 혁신과 성장'이라는 주제로 SW 주간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것”이라면서 “SW로 구현하는 디지털 모범국가 실현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문 : SW주간, 27일부터 5일간 개최…정부, SW 생태계 성장 이끈다 - 전자신문 (etnews.com)
서울랩스(Seoul Labs)는 '사슬(SASEUL)'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을 위한 솔루션 사업체계 강화에 나서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랩스는 사슬(SASEUL) 블록체인 솔루션 사업체계를 조기에 강화하고자 전직군에 걸친 대규모 공개채용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서울랩스는 3세대 블록체인인 '사슬(SASEUL)'의 기술지원, DApp 서비스 개발지원, 그리고 컨퍼런스 등을 포함한 커뮤니티 운영 등을 통해 사슬 생태계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최근 '사슬(SASEUL)' 메인넷의 범용 글로벌 가상자산 월렛인 '지갑(ZIGAP)', 크립토 프로젝트 ICO 서비스 플랫폼인 '슬러쉬(SLUSH)', 탈중앙화 거래소 '슬렉스(SLEX)' 등 크립토 프로젝트를 연이어 발표했다.
서울랩스 관계자는 "사슬(SASEUL) 생태계의 기반 인프라 성격의 서비스를 우선 출시하고, 시장형성 단계와 시장요구에 맞춰 서비스를 다양화 할 계획이다"라며, "2024년 상반기까지 30개 이상의 크립토 프로젝트를 론칭하고 순차적으로 DApp을 출시해서, 사슬(SASEUL) 블록체인 생태계에서의 성공 레퍼런스를 만들어갈 예정이다"고 덧붙였다.
서울랩스가 론칭할 크립토 프로젝트 일부는 연내부터 상용 서비스가 개시될 예정이며, 내년 상반기까지 출시할 DApp과 주요 기능들은 단계적으로 시장에 솔루션으로도 내놓을 예정이다.
지난 24일 서울랩스는 서울 코엑스에서 '사슬 블록체인 컨퍼런스 2023 (SASEUL Blockchain Conference 2023)'를 성황리에 개최했으며, 2024년 2월에는 '사슬 개발자·비즈 해커톤 (SASEUL DEV·BIZ Hackathon 2024 - Seoul)'의 개최도 발표했다.
이번 공개채용은 3세대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ZIGAP, SLUSH, DEX 및 다양한 DApp 서비스 개발·운영, 그리고 3세대 블록체인 기술보급 및 독자적인 생태계를 이끌어갈 유능한 인재를 모집하기 위한 것이다. 모집 분야는 ▲개발 ▲기획 ▲마케팅 ▲사업 ▲인사 ▲총무 등 전직군으로, 경력과 신입 모두 지원 가능하다. 채용절차는 서류전형, 실무면접, 최종면접 순으로 진행된다.
서울랩스 채용 담당자는 "차세대 블록체인 전성기를 함께 열어갈 도전적인 분들의 많은 관심과 지원을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랩스의 채용공고는 2023년 11월 30일부터 12월 23일까지로, 자세한 사항은 주요 인재채용 서비스 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다.
원문 : 3세대 블록체인 스타트업 '서울랩스', 전직군 대규모 공개채용 (dailian.co.kr)
자동안내방송시스템 전문기업 양진텔레콤은 신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발 직무 분야 신입 개발자 공개 채용을 진행한다고 27일 밝혔다. 채용기간은 이날부터 오는 12월 31일까지다.
양진텔레콤에 따르면, 이번 채용 부문은 ▲리눅스(Linux) 개발 ▲윈도우(Windows) 개발 ▲안드로이드 개발 ▲임베디드 개발 ▲웹 개발 등이다. 채용 철차는 서류 접수, 1차 인터뷰, 2차 인터뷰, 임원면접 순서로 이루어지며 잡코리아 등 채용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 지원할 수 있다.
양진텔레콤은 우수한 개발 인력을 확보해 기존 소프트웨어 및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한편 자체적인 R&D 역량을 한층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더해 최근 선보인 자동안내 방송시스템을 넘어 더욱 편리하고 안정적인 대중교통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자동안내 방송시스템 개발에 나선다는 입장이다.
양진텔레콤이 최근 개발한 차세대 '실시간 자동방송안내시스템'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실시간으로 지진, 태풍, 화재 등 재난정보를 차내 음성과 LED 전광판 문자로 안내가 가능하다. 재난정보 외에도 각종 집회, 행사, 사고 등 버스 우회 안내에도 적용이 가능해 서울 시내버스 이용객들에게 신속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양진텔레콤 관계자는 "시내버스안내시스템 선두주자 양진텔레콤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우수한 인재를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열정과 실력을 갖춘 인재들을 영입하고 다양한 기회를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양진텔레콤은 1999년 시내버스안내시스템(YMBIS)을 개발해 서울시와 협약을 맺고 서울지역 시내버스에 자동안내시스템을 공급해오며 서울시민을 위한 공공서비스 개발에 힘쓰고 있다.
원문 : 양진텔레콤, '신입 개발자 공개 채용'…자체 연구개발 강화 (datanews.co.kr)